기후변화 소식
-
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이유
미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. 이 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8900명이 넘었고, […]
-
People’s Climate March
지난 9월23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세계 각국 정상들을 미국 뉴욕으로 소집하여 기후정상회의를 열었습니다. 2020년부터 시작될 신기후체제 논의를 내년까지 마무리 해야 […]
-
기후변화협상(COP20), 중남미 국가들이 돌파구 마련한다
2020년 시작되는 새로운 기후체제를 둘러싼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, 중남미 국가들이 야심찬 기후변화 입법을 추진함에 따라 협상 타결의 전망이 밝아지고 […]
-
황제펭귄도 멸종 가능성 있다
기후변화로 극지방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빙하에 의존해 살아가는 동물들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. 지금까지 알려진 상징적인 사례는 북극곰이다. 하지만 최근 남극의 빙하면적이 […]
-
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, 따로 또 같이?
>평창에서 열릴 생물다양성협약 총회 올해 강원도 평창에서는 9월29일부터 10월17일까지 3주간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개최될 예정이다. 1992년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[…]
-
기후변화에 ‘회복력’이 높은 세계 10위권 도시는?
인류가 미래에도 안전하게 살아가려면 기후변화 등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제공해줄 수 있는 ‘회복력(resilience)’이 높은 도시가 필요하다. 2050년에는 […]
-
기후변화로 블랙아웃(정전사태) 두 배 증가했다
미국의 전력망은 거대한 도전 앞에 놓여있다. 기후변화와 설비 노후화로 전력설비가 마비되는 정전사태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. 최근 비영리단체 Climate Central가 발간한 […]
-
IPCC 보고서 두 권, 무슨 내용을 담았나?
약간 늦었지만 IPCC(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)가 지난 3월 31일과 4월 13일 연이어 발표했던 두 편의 제5차 보고서 내용을 간추려 […]
-
징기스칸에서 바이킹까지 – 기후변화 역사로부터 배울 점
“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”는 온고이지신(溫故而知新)의 가르침은 기후변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되새겨볼만하다. 역사를 살펴보면 기후변화의 영향이 비단 오늘의 문제만은 […]
-
기후변화법 서명을 망설이는 당신께 권하는 편지 – “핵에너지는 기후변화 문제의 해답이 아니다” Ⅱ
지난해 11월 3일 한 통의 서한이 세계의 주요 언론에 공개됐다. 서한에 서명한 사람들은 미국 항공우주국(NASA)의 과학자 출신인 제임스 한센 박사, […]